협심증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근경색과 같은 치명적인 심장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증상을 조기에 인지하고 적절한 검사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 협심증이란?
협심증(Angina)은 심장 근육이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할 때 발생하는 가슴 통증 또는 불편감을 의미합니다. 대개 운동 중 또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증상이 나타나며, 휴식을 취하면 완화됩니다.
협심증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 안정형 협심증: 일정한 패턴으로 발생하며, 특정 상황(운동, 추위, 스트레스)에서 유발됨
- 불안정형 협심증: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휴식 중에도 나타날 수 있음(심근경색의 전조증상일 가능성 높음)
2. 협심증 초기증상
협심증의 증상은 가슴 통증이 대표적이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 증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2.1 주요 증상
- 가슴 중앙부의 압박감, 쥐어짜는 듯한 통증
- 가슴이 답답하거나 무거운 느낌
- 운동, 스트레스, 식사 후 증상 악화
- 휴식 또는 니트로글리세린 복용 후 증상 완화
2.2 동반 증상
- 어깨, 목, 턱, 왼팔, 등으로 퍼지는 통증
- 호흡 곤란 또는 숨이 차는 느낌
- 식은땀, 현기증, 실신
- 소화 불량과 비슷한 느낌(속쓰림, 구역질)
불안정형 협심증의 경우 휴식 중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며, 이는 급성 심근경색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3. 협심증 검사 방법
협심증이 의심될 경우,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3.1 기본 검사
① 문진 및 신체검사
의사는 증상의 특징, 지속 시간, 유발 요인 등을 확인하며, 혈압과 맥박을 측정합니다.
② 심전도 검사 (ECG, EKG)
- 심장의 전기 신호를 기록하여 비정상적인 심장 리듬이나 허혈(산소 부족) 상태를 감지함
- 협심증 발작 중에 검사를 하면 이상 소견이 보일 가능성이 높음
3.2 영상 및 부하 검사
③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 러닝머신이나 자전거를 타면서 심전도를 측정하여 운동 시 심장 혈류 공급 상태를 평가함
- 협심증 환자는 운동 중 가슴 통증이 유발되거나 심전도 이상이 나타날 수 있음
④ 심장 초음파 검사 (Echocardiography)
- 심장의 구조와 혈액의 흐름을 확인하여 심근의 이상 유무를 평가함
- 운동 부하 심초음파를 함께 시행할 수도 있음
⑤ 관상동맥 CT (CT 혈관조영술)
- 조영제를 주입한 후 CT 촬영을 통해 관상동맥이 좁아진 정도를 평가
-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협심증 진단에 유용함
3.3 정밀 검사
⑥ 관상동맥 조영술 (심혈관 조영술, CAG)
- 협심증 확진 검사로, 조영제를 관상동맥에 직접 주입한 후 X-ray 촬영을 통해 혈관 협착 여부를 확인함
- 심장 카테터 삽입이 필요하므로 입원 후 진행하는 경우가 많음
⑦ 혈액 검사
- 심근효소 검사: 심장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CK-MB, 트로포닌 수치를 측정함
- 지질 검사: LDL 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높은 경우 협심증 위험이 증가함
- 혈당 검사: 당뇨병이 있는 경우 협심증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지므로 함께 검사함
4. 협심증을 예방하는 방법
협심증은 조기 진단뿐만 아니라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1 건강한 식습관
- **저염식, 저